사회재난 행동요령
화재·붕괴·폭발·교통사고·화생방사고·환경오염사고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의 피해와 에너지·통신·교통·금융·의료·수도 등 국가기반체계의 마비,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감염병 또는 「가축전염병예방법」에 따른 가축전염병의 확산 등으로 인한 피해
화재(일반) | 화재(공동주택) | 산불 |
폭발 | 교통사고 | 건축물붕괴 |
철도, 지하철사고 | 유ㆍ도선 사고 | 전기ㆍ가스사고 |
식용수 | 원전사고 | 해양 선박사고 |
대규모수질오염 | 가축질병 | 공동구재난 |
정전 및 전력부족 | 금융전산 | 댐붕괴 |
해양오염사고 | 화학물질사고 | 감염병예방 |
인공우주물체추락 | 미세먼지 | 항공기사고 |
GPS전파혼신재난 | 보건의료재난 | 정보통신사고 |
공연장 안전 | 도로터널사고 | 사업장대규모인적사고 |
1
지하철 안전장치 안내 영상
재난 상식이 없습니다.
철도, 지하철 사고 자료실
- 관련 자료가 없습니다.
재난유형
지하철 사고
지하철 사고 발생시 국민행동요령
-
지하철 화재발생시 대피요령
- 노약자·장애인석 옆에 있는 비상버튼을 눌러 승무원과 연락합니다.
- 여유가 있다면 객차마다 2개씩 비치된 소화기를 이용하여 불을 끕니다.
- 출입문이 자동으로 열리지 않으면 수동으로 문을 열고, 여의치 않으면 비상용 망치를 이용하여 유리창을 깨고, 망치가 없으면 소화기로 유리창을 깹니다.
- 스크린도어(PSD)가 열리지 않을 경우는 스크린도어에 설치된 빨간색 바를 밀고 나갑니다.
- 코와 입을 수건, 티슈, 옷소매 등으로 막고 비상구로 신속히 대피합시다.
- 정전 시에는 대피유도 등을 따라 출구로 나가고, 유도등이 보이지 않을 때는 벽을 짚으면서 나가거나 시각장애인 안내용 보도블록을 따라 나갑시다.
- 지상으로 대피가 여의치 않을 때는 전동차 진행방향 터널로 대피합시다.

Q & A
Q. 출입문을 수동으로 어떻게 열 수 있나요 ?
- ① 출입문 쪽 의자아래 또는 벽면에 있는 조그만 뚜껑을 여세요.
② 뚜껑 속의 비상 코크를 잡아당기거나, 빨간색 비상핸들을 시계방향으로 90도 돌립니다.
③ 공기 빠지는 소리가 멈출 때까지 3~10초간 기다립니다.
④ 출입문을 양쪽으로 밀어서 여세요.
고속철도 탈선·충돌사고 발생시 대피요령
-
고속철도 탈선·충돌사고 발생시 대피요령
- 기관사 및 승무원의 안내방송에 따라 대피합니다.
- 승무원이 승강문을 개방하면 질서 있게 대피합시다.(필요시, 비상사다리 설치)
- 부상자, 노약자, 임산부가 먼저 대피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도와줍니다.
- 승강문이 열리지 않으면 비상용 망치를 이용하여 비상창문을 깨고 탈출할 수 있습니다.
- 반대편 선로로 절대 대피하지 않도록 하고, 선로변내에 머무르지 않습니다.
- 터널내에서는 비상 유도등을 따라 가까운 터널 입구 및 비상대피소로 이동합니다.
- 안전한 장소에서 구급차, 구원열차, 버스 등 연계수송 교통수단을 기다립니다.

-
고속철도 테러(독가스) 발생시 대피요령
- 차량 출입문 옆에 있는 인터폰을 이용하여 승무원에게 연락합니다.
- 코와 입을 수건, 티슈, 옷소매 등으로 막고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다른 객차로 이동합니다.
- 기관사 및 승무원의 안내방송에 따라 대피합니다.
- 승무원이 승강문을 개방하면 질서 있게 대피합시다.(필요시, 비상사다리 설치)
- 부상자, 노약자, 임산부가 먼저 대피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도와줍니다.
- 승강문이 열리지 않으면 비상용 망치를 이용하여 비상창문을 깨고 탈출할 수 있습니다.
- 반대선 선로에는 절대로 대피하지 않도록 하고, 선로변내에 머무르지 않습니다.
- 터널내에서는 비상 유도등을 따라 가까운 터널 입구 및 비상대피소로 대피합시다.
- 안전한 장소에서 구급차, 구원열차, 버스 등 연계수송 교통수단을 기다립니다.
Q & A
Q. 고속열차 승강문을 수동으로 어떻게 열 수 있나요 ?
- ① 승강문 왼쪽 상단 에어제거 버튼을 내립니다.
② 공기 빠지는 소리와 함께 승강문 쇄정버튼이 밖으로 나옵니다.
③ 승강문 쇄정버튼을 잡아당깁니다.
④ 승강문이 밖으로 튀어나가면 승강문 손잡이를 옆으로 잡아당겨 문을 엽니다.
국민행동요령
- 지하철 사고
- 객실 양 끝에 있는 인터폰으로 승무원에게 알립니다.
- 화재 발생 시 119에 신고하고 여유가 있다면 객실 양 끝에 비치된 소화기로 불을 끕니다.
- 입과 코를 젖은 천으로 막고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다른 객실로 이동합니다.
- 안내방송과 승무원의 안내에 따라 질서있게 대피합시다.
- 부상자, 노약자, 임산부가 먼저 대피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돕습니다.
- 문이 열리지 않으면 열차가 멈춘 후에 안내방송에 따라 비상핸들이나 비상콕크를 돌려 문을 열고 탈출합니다.
- 스크린도어는 손잡이를 양쪽으로 밀거나 빨간색 바를 밀고 탈출합니다.
- 선로로 대피할 때에는, 감전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대피안내에 따라 반대편 선로의 열차 진입에 유의하며 대피합니다.
- 대피할 때에는 대피 유도등을 따라 침착하게 비상구로 대피합니다.
- 선로로 대피할 때에는, 감전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대피안내에 따라 반대편 선로의 열차 진입에 유의하며 대피합니다.
- 객실 양 끝에 있는 인터폰으로 승무원에게 알립니다.
국민행동요령
- 고속철도 사고
- 차량 출입문 옆에 있는 인터폰을 이용하여 승무원에게 알립니다.
- 화재 발생 시 119에 신고하고, 여유가 있다면 객실 연결통로에 비치된 소화기로 불을 끕니다.
- 코와 입을 젖은 천으로 막고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다른 객실로 이동합니다.
- 안내방송과 승무원의 안내에 따라 질서있게 대피합시다.
- 부상자, 노약자, 임산부가 먼저 대피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돕습니다.
- 문이 열리지 않으면 비상망치로 객실 양 끝의 비상창문을 깨고 탈출합니다.
- 선로로 대피할 때에는 반대편 선로의 열차 진입에 유의합니다.
- 터널 내에서는 자세를 낮추고 비상 유도등을 따라 가까운 터널 입구나 비상대피소로 이동합니다.
- 안전한 곳에서 구급차, 구원열차, 버스 등 연계 수송 교통수단을 기다립니다.
- 터널 내에서는 자세를 낮추고 비상 유도등을 따라 가까운 터널 입구나 비상대피소로 이동합니다.
- 차량 출입문 옆에 있는 인터폰을 이용하여 승무원에게 알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