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재난 행동요령
화재·붕괴·폭발·교통사고·화생방사고·환경오염사고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의 피해와 에너지·통신·교통·금융·의료·수도 등 국가기반체계의 마비,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감염병 또는 「가축전염병예방법」에 따른 가축전염병의 확산 등으로 인한 피해
화재(일반) | 화재(공동주택) | 산불 |
폭발 | 교통사고 | 건축물붕괴 |
철도, 지하철사고 | 유ㆍ도선 사고 | 전기ㆍ가스사고 |
식용수 | 원전사고 | 해양 선박사고 |
대규모수질오염 | 가축질병 | 공동구재난 |
정전 및 전력부족 | 금융전산 | 댐붕괴 |
해양오염사고 | 화학물질사고 | 감염병예방 |
인공우주물체추락 | 미세먼지 | 항공기사고 |
GPS전파혼신재난 | 보건의료재난 | 정보통신사고 |
공연장 안전 | 도로터널사고 | 사업장대규모인적사고 |
1
공동구 재난 시 국민행동요령
재난 상식이 없습니다.
공동구재난 관련 자료실
- 관련 자료가 없습니다.
재난유형
공동구재난
위의 표는 가로 스크롤 설정되어있습니다.
위의 표는 가로 스크롤 설정되어있습니다.
공동구재난 사고 발생시 행동요령
-
1. 공동구재난 발생 우려시
- 거주지역 인근에 공동구가 있을 경우, 공동구관리자(지자체, 공단 등) 및 유관기관 비상연락망 등을 사전에 파악합니다.
* 공동구 설치지역 : 서울(목동,여의도,개포,가락,상계,상암,은평,마곡), 대전(둔산), 부산(해운대), 인천(연수,송도,남동), 광주, 경기(부천,분당,평촌,일산,산본,수원,안산,파주), 충북(오창), 충남(내포), 전남(여수), 경북(구미,안동), 경남(창원), 세종(나성,보람,용호)
- 재난(화재 등) 발견 시 다른 사람에게 알리고, 폭발 및 붕괴 등의 위험이 없는 안전한 지역으로 이동하고, 소방서(119) 및 관할 지자체(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에 신고합니다.
- 공동구 인근에 있는 주민들은 화재 및 파괴 등에 따른 폭발, 도로붕괴 등의 위험이 있으니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의 통제에 따라 행동합니다.
*전력공급이 중단 될 수 있으니, 엘리베이터는 절대 이용하지 않도록 하며 계단을 이용
*공동구 재난 현장에는 연기·가스에 의한 질식이나 호흡기관의 장애를 초래할 위험이 있으므로 풍향에 따라 적절히 우회 행동하고 물수건으로 입과 코를 막고 이동
*특히, 주위에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 안전취약계층 확인하고 이웃들이 함께 확인하며 이동
*안전한 곳에 도달한 이후에는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의 안내에 따라 귀가 - 재난방송 청취 등 상황전개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합니다.
*스마트폰이나 휴대용 라디오 등을 소지하여 재난온라인방송 청취
*행정안전부에서 발송하는 재난문자전송서비스(CBS) 지속 확인 - 안전이 확인된 이후 이동 및 귀가합니다.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의 별도 안내가 있기 전까지 무분별한 이동 자제
*추가적인 공동구 재난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공동구 인근에는 접근하지 않도록 유의 - 집에 도착한 후에 전력, 통신, 상수 등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이상이 의심될 경우에는 지자체 및 한전, KT, 상수도사업소 등에 점검 및 복구 요청합니다.

2. 공동구 재난 발생 시
Q & A
Q. 공동구란 무엇입니까?
- (A) 공동구란 지하매설물(전선로, 통신선로, 상·하수도관, 열수송관 등)을 공동 수용함으로써 도로중복굴착방지, 도시미관 개선, 도로구조 보전 및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지중(地中)에 설치하는 시설물입니다.
- 공동구는 지자체가 관리하며,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되고 있어 재난(화재, 파손 등) 발생 시 직접적인 인명 피해의 우려는 적으나, 재난 발생 시 전력, 통신, 상수 등 단절에 대비한 국민들의 주의가 필요하며, 화재 시 환기구를 통해 유독가스가 배출 될 수 있어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국민행동요령
주변 공동구 확인

거주지역 인근에 공동구가 있는지 사전에 확인합니다.
*공동구란 도로중복굴착방지, 도시미관 개선, 도로구조 보전 및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전선로, 통신선로, 상·하수도관, 열수송관 등을 지하에 매설한 시설물입니다.
공동구 사고 발생 시
![]() |
![]() |
![]() |
사고 발견 시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고, 안전한 곳으로 이동한 후 소방서나 지자체에 신고합니다. | 통제에 따라 지정된 대피장소로 이동합니다. •계단으로 이동(엘리베이터 이용 금지) •물수건으로 입과 코를 막고 이동 |
별도의 안내가 있을 때까지 무단으로 이동하지 않으며, 재난방송 청취 등 상황전개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합니다. |
공동구 사고 발생 후
![]() |
![]() |
집에 도착한 후에는 전력, 통신, 수돗물 등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관련기관 및 지자체에 점검과 복구 요청을 합니다. | 별도의 안내가 있기 전까지 무분별한 이동을 자제하고 공동구 인근에는 접근하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