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재난 행동요령
자연재난이란 태풍, 홍수, 호우(豪雨), 강풍, 풍랑, 해일(海溢), 대설, 낙뢰, 가뭄, 지진, 황사(黃砂),조류(藻類) 대발생, 조수(潮水), 화산활동,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해를 뜻한다.
침수 | 태풍 | 낙뢰 |
대설 | 강풍 | 한파 |
황사 | 화산폭발 | 폭염 |
홍수 | 지진 | 산사태 |
1
[국민안전수칙] 산사태 발생 시 행동요령
재난 상식이 없습니다.
산사태 관련 자료실
재난유형
산사태
②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밖으로 나가는 것을 삼가고 유선연락이 가능한 곳에서 상황 예의 주시 경사면에서 물이솟는 등 산사태 징후가 있을 경우 즉시 대피하고 가까운 주민센터나 시구 재난안전대책본부에 신고한다.
③ 기상상황 및 행정기관 연락상황을 SMS 또는 방송 정보를 통해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② 대피시 화재 등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가스, 전기 차단
③ 혹시 대피하지 않은 주민이 있을 수 있으므로 옆집을 확인하고 위험 상황을 알려준다.
④ 대피 후 기상 등 위험상황의 추이를 확인한다.
② 등산객 또는 산간계곡의 야영객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한다.
③ 텔레비전, 인터넷, 라디오를 통해 기상정보를 확인하고 관계 행정기관의 안내에 귀 기울인다.
① 산림주변의 야외 활동을 하지 않는다.
② 산림내에 있을 경우 계곡부에서 벗어나 높은 곳으로 피신한다.
③ 산사태 발생 상황을 확인한 경우 즉시 신고하고, 인명피해 및 고립이 우려될 경우 119로 구조를 요청한다.
산사태취약지역 주민(주의보 단계)
① 산사태 취약지역 주민은 대피를 준비하고, 행정기관에서 안내한 대피장소를 사전에 숙지하고 간단한 생필품 등 사전준비②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밖으로 나가는 것을 삼가고 유선연락이 가능한 곳에서 상황 예의 주시 경사면에서 물이솟는 등 산사태 징후가 있을 경우 즉시 대피하고 가까운 주민센터나 시구 재난안전대책본부에 신고한다.
③ 기상상황 및 행정기관 연락상황을 SMS 또는 방송 정보를 통해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산사태취약지역 주민(경보 단계)
① 산사태 취약지역 주민은 안전을 위해 사전에 대피하거나 주민대피명령이 발령될 경우 대피장소 또는 안전지대로 반드시 대피한다.② 대피시 화재 등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가스, 전기 차단
③ 혹시 대피하지 않은 주민이 있을 수 있으므로 옆집을 확인하고 위험 상황을 알려준다.
④ 대피 후 기상 등 위험상황의 추이를 확인한다.
일반 주민(주의보 단계)
① 산사태가 일어날 위험이 있는 곳에서 가까이 가지 않는다. 산사태 징후에 대해 사전에 숙지② 등산객 또는 산간계곡의 야영객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한다.
③ 텔레비전, 인터넷, 라디오를 통해 기상정보를 확인하고 관계 행정기관의 안내에 귀 기울인다.
일반 주민(경보 단계)
KBS뉴스(자막방송), 산사태정보시스템을 통해 산사태 경보 발령지역을 확인하고 지역내에 위치할 경우 안전에 유의한다.① 산림주변의 야외 활동을 하지 않는다.
② 산림내에 있을 경우 계곡부에서 벗어나 높은 곳으로 피신한다.
③ 산사태 발생 상황을 확인한 경우 즉시 신고하고, 인명피해 및 고립이 우려될 경우 119로 구조를 요청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