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게시판은 생활속에서 재사용과 자원순환의 녹색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하여 생활 주변 작은 나눔장터인 도봉구“녹색장터”의 활성화를 위한 공간으로, 녹색장터의 참여자들이 재사용할 물품을 간단히 소개하는 공간입니다.
- 도봉구 녹색나눔장터 및 도봉구 재활용품(중고물품) 판매장 안내
-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물에 대하여는 등록할 수 없으며, 이와 같은 내용의 게시물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에 대한 모든 책임은 회원 본인에게 있습니다.
- 특히 개인정보를 포함하여 게시하는 경우에는 불특정 다수에게 개인정보가 노출되어 악용될 수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처벌을 받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따라서 해당 게시판에 글쓰기를 하는 경우에는 본문 또는 첨부파일 내에 개인정보(주민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계좌번호 등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된 글을 게시하시면 안되며, 자세한 안내가 필요한 경우에는 별도의 안내 사이트를 링크하는 등의 방법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제목 | 우리 자녀 밖에만 나가면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소심해지는 이유는? | ||
---|---|---|---|
등록자 | OOO | 등록일 | 2016.08.09 |
구분 | 팝니다 | 조회수 | 318 |
첨부파일 |
우리 자녀 밖에만 나가면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소심해지는 이유는? A. 낯선 상황에서 아동이 쉬이 위축되어 보이고 적극적으로 또래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데는 몇 가지 요인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첫째, 가정과 같이 익숙한 환경에서는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느끼지만 익숙하지 않은 바깥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아이는 쉬이 경직되거나 또래들과의 사이에서 어떻게 대처하고 어울려 놀아야하는지 주저할 수 있습니다. 혹시 낯선 상황 대처에 요구되는 인지적, 혹은 정서적 자원은 잘 갖추고 있는지를 살펴보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사회성 발달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종합심리검사”라는 것을 실시해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둘째, 가장 중요하게는 부부사이가 원만한지도 점검해보시길 바랍니다. 자녀의 사회성에 부부관계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자녀가 모와의 애착관계를 맺는 2자 관계에서 부와의 관계에 친밀감이 쌓이면서, 3자관계로 확장해 나가는데 부부사이는 중요한 변수가 됩니다. 3자관계로 확장해가면서 자녀들은 성차와, 사회성과 권위에 대한 이해를 성장시켜 나갑니다. 셋째, 가정 안에서 자녀의 욕구에 정도이상으로 관심이 부여되고, 적절한 좌절경험을 최소화하려는 가정 내 분위기가 형성될 경우, 자녀가 관심의 중심을 받지 못하는 사회적 상황에서의 적응을 힘들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때문에, 자녀가 좌절되는 상황에 부모가 어떤 마음과 태도를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시는 것도 필요합니다. 넷째, 부모가 사회성 발달을 위한 좋은 모델링을 제공해주고 있는지도 점검해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녀가 사교적인 성향이었으면 하고 바라지만, 정작 부모 자신은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 맺기에 관심이나 흥미가 적은 면은 있지 않은지를 고려해 봐야합니다. Tip. 무엇보다도 자녀가 왜 친구들과 어울리는데 마음에 어려움이 있는지 관심을 기울이고 소통해보는 노력이 선행되는 것이 좋습니다. 소통할 때 유의하실 점은, 아직 자기표현이 명확하지 않은 자녀에게 ‘왜 친구 노는 데 못 끼냐? 애들한테 말을 못 거냐?’며 이유를 자꾸 묻기보다는 그 상황에서 자녀가 느끼는 감정을 어머님이 함께 이해해주려는 입장에 서다보면 문제에 대한 실마리를 좀 더 쉽게 풀어갈 수도 있습니다. TEL: 02-882-1847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