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 내용 |
○ 도봉구 행복지표 작성 관련
1) 행복지표에 대한 학습과 공유
- 행복지표에 대한 학습을 통해 교육문화영역에서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기본적인 방향성 확립 도모
- 학습과 공유: 위원별로 파트를 나눠 타기관 사례들을 학습하여 공유, 지표제작을 위한 기반지식 마련
- 학습이 일정 수준 이루어진 경우 관련 전문가를 초빙하여 교육·토론 등 검토(차기 분과위원회 개최일까지 위원들의 학습상황을 고려 후 결정)
2) 행복지표의 활용 방안 논의
- 영역별 분류 기준작성: 사업들을 방향과 취지에 따라 영역을 나눠 분류할 수 있는 기준 작성
- 영역별로 분류된 결과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도봉구 교육?문화정책의 균형성을 평가
- 시범적으로 타기관의 행복지표(안)를 활용하여 도봉구 사업들을 분류하는 것 검토
3) 행복지표 관련 추가 자료 요청
- 종로구 행복지수 추진과정, 서울시 행복지수사업 추진경과 및 도봉구 현황, 전주시 행복지수 현황 등
○ 그 외 제시 의견
- 전영역에 대한 지표작성이 어려울 경우, 교육문화에 대한 지표만을 만드는 방안도 고려
- 교육·문화와 관련된 도봉구의 사업들이 실제 주민에게 미치는 효과성과 영향을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