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플러스사업
조회수 : 9953
구분 | 공약 | 주요현안 | 국시비 | 공모 |
---|---|---|---|---|
사업유형 | ![]() |
![]() |
구분 | 계획수립 | 예산확보 | 추진현황 | ||||||||
---|---|---|---|---|---|---|---|---|---|---|---|
단계별 추진현황 |
미수립 | 수립중 | 완료 | 비예산 | 미확보 | 진행중 | 완료 | 미착수 | 추진중 | 완료 (종결) |
완료 후 지속추진 |
○ | ○ | ○ |
공개사유 | - 다수의 구민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사업
|
---|
사업개요
사업개요
○ 목 적 : 취약계층 임산부 및 영유아의 영양문제(빈혈, 저체중, 영양불량 등)를 해소하고 스스로 식생활을 관리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건강증진 도모
○ 대 상 : 기준중위소득 80% 이하, 만6세 까지의 영유아 및 임산부(임신부, 출산부, 수유부)
빈혈, 저체중, 성장부진, 영양섭취상태불량 등 한가지 이상의 영양위험요인 보유자
○ 내 용
- 영양교육 및 상담 : 보건소별 지역특성 및 대상자 특성에 따라 단체교육, 개인상담, 가정방문 실시
- 보충식품공급 : 대상구분 및 특성에 따라 6가지의 식품패키지 중 처방
(쌀, 감자, 당근, 달걀, 우유, 서리태, 김, 미역, 참치, 오렌지쥬스 등)
- 정기적 영양평가 : 빈혈검사, 신체계측, 영양섭취상태조사를 통해 대상자의 영양섭취상태조사
○ 목 적 : 취약계층 임산부 및 영유아의 영양문제(빈혈, 저체중, 영양불량 등)를 해소하고 스스로 식생활을 관리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건강증진 도모
○ 대 상 : 기준중위소득 80% 이하, 만6세 까지의 영유아 및 임산부(임신부, 출산부, 수유부)
빈혈, 저체중, 성장부진, 영양섭취상태불량 등 한가지 이상의 영양위험요인 보유자
○ 내 용
- 영양교육 및 상담 : 보건소별 지역특성 및 대상자 특성에 따라 단체교육, 개인상담, 가정방문 실시
- 보충식품공급 : 대상구분 및 특성에 따라 6가지의 식품패키지 중 처방
(쌀, 감자, 당근, 달걀, 우유, 서리태, 김, 미역, 참치, 오렌지쥬스 등)
- 정기적 영양평가 : 빈혈검사, 신체계측, 영양섭취상태조사를 통해 대상자의 영양섭취상태조사
주요추진경과
주요추진경과
□ 2020년도 주요추진실적
- 총 수혜대상자 수 : 2,858명
- 영양교육 및 상담 : 단체교육 3,518명, 개별상담 5,108명, 가정방문 20명
- 보충식품공급 : 식품 5,262회/우유 25,757.7L
- 정기적 영양평가 : 880명
□ 2021년도 주요추진실적
- 총 수혜대상자 수 : 3,023명
- 영양교육 및 상담 : 단체교육 3,350명, 개별상담 4,794명
- 보충식품공급 : 식품 5,662회/우유 28,954.72L
- 정기적 영양평가 : 936명
□ 2022년도 주요추진실적(2022. 10. 31. 기준)
- 총 수혜대상자 수 : 2,633명
- 영양교육 및 상담 : 단체교육 3,233명, 개별상담 4,118명
- 보충식품공급 : 식품 5,021회/우유 26,673L
- 정기적 영양평가 : 720명
□ 2020년도 주요추진실적
- 총 수혜대상자 수 : 2,858명
- 영양교육 및 상담 : 단체교육 3,518명, 개별상담 5,108명, 가정방문 20명
- 보충식품공급 : 식품 5,262회/우유 25,757.7L
- 정기적 영양평가 : 880명
□ 2021년도 주요추진실적
- 총 수혜대상자 수 : 3,023명
- 영양교육 및 상담 : 단체교육 3,350명, 개별상담 4,794명
- 보충식품공급 : 식품 5,662회/우유 28,954.72L
- 정기적 영양평가 : 936명
□ 2022년도 주요추진실적(2022. 10. 31. 기준)
- 총 수혜대상자 수 : 2,633명
- 영양교육 및 상담 : 단체교육 3,233명, 개별상담 4,118명
- 보충식품공급 : 식품 5,021회/우유 26,673L
- 정기적 영양평가 : 720명
문제점 및 대책
문제점 및 대책
○ 전국 출생아 수의 지속적인 자연감소 및 모자보건사업 대비 낮은 소득기준으로 사업대상자 확보의 어려움
○ 전국 출생아 수의 지속적인 자연감소 및 모자보건사업 대비 낮은 소득기준으로 사업대상자 확보의 어려움
향후계획
향후계획
○ 영양플러스사업의 소득기준을 확대할 수 있도록 건강증진개발원 및 보건복지부 건의
○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하여 다양한 비대면 접근방식을 강화하여 운영
○ 영양플러스사업의 소득기준을 확대할 수 있도록 건강증진개발원 및 보건복지부 건의
○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하여 다양한 비대면 접근방식을 강화하여 운영
현황 도면
등록된 도면이 없습니다.
주관부서 | 보건지소 (과장) |
지소사업팀
(팀장) |
주무관 (담당) |
전화번호 |
---|---|---|---|---|
보건지소 | 나현천 | 김훤숙 | 김자영 | 02-2091-5465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