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문화진지 조성 및 운영
조회수 : 18087
구분 | 공약 | 주요현안 | 국시비 | 공모 |
---|---|---|---|---|
사업유형 | ![]() |
![]() |
구분 | 계획수립 | 예산확보 | 실행여부 | ||||||||
---|---|---|---|---|---|---|---|---|---|---|---|
단계별 추진현황 |
미수립 | 수립중 | 완료 | 비예산 | 미확보 | 진행중 | 완료 | 미착수 | 실행중 | 완료 (종결) |
완료 후 지속추진 |
○ | ○ | ○ |
공개사유 | - 총사업비 10억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
|
---|
사업개요
○ 사업기간: 2014. 8. ~ 계속
○ 시설 : 서울특별시 창작공간 ‘대전차방호시설 문화창작센터’
○ 위 치: 도봉구 마들로 932(지하철 1,7호선 도봉산역과 창포원 주변)
○ 건축비: 2,850,000천원
○ 규 모: 연면적 1,901.97㎡
○ 용도: 군사시설, 근린생활시설(예술창작공간, 카페테리아, 사무실)
○ 이용자 : 지역의 생활예술가, 전문 예술가, 인근지역 시민 등
○ 운영계획
- 문화예술진흥을 위한 창작지원사업
- 시민 문화향유를 위한 문화예술프로그램 운영 등
○ 시설 : 서울특별시 창작공간 ‘대전차방호시설 문화창작센터’
○ 위 치: 도봉구 마들로 932(지하철 1,7호선 도봉산역과 창포원 주변)
○ 건축비: 2,850,000천원
○ 규 모: 연면적 1,901.97㎡
○ 용도: 군사시설, 근린생활시설(예술창작공간, 카페테리아, 사무실)
○ 이용자 : 지역의 생활예술가, 전문 예술가, 인근지역 시민 등
○ 운영계획
- 문화예술진흥을 위한 창작지원사업
- 시민 문화향유를 위한 문화예술프로그램 운영 등
주요추진경과
○ 15. 1.30.: 육군 군시설 조건부 사용 협의
○ 15. 3. 2.: 시설단 군시설 공동활용 협의
○ 15. 7.31.: 대전차방호시설 예술창작공간 조성·운영 기본계획 통보(서울시 문화정책과)
○ 15. 8. 6.: 대전차방호시설 예술창작공간 조성·운영 기본계획 수립
○ 15. 8. 7.: 대전차방호시설 5개동 전면 리모델링공사 발주의뢰
○ 15.10.15.: 설계공모 당선작 실시설계 용역계약(2015.10.15∼2016.1.12)
○ 16. 1. 7.: 군부대 요청사항 등을 반영한 설계용역 기간 연장 (16. 1. 12. → 16. 6.12.)
○ 16. 2.24.: 공간재생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전문가 및 사업관계자 16명)
○ 16. 4.15.: 베를린장벽 무상기증 가능 통보
○ 16. 4.28.: 베를린장벽 3개 요청 및 조감도(영문) 자료 제출(외교부 공공외교총괄과)
○ 16. 5. 2: 대전차방호시설 전면공간 베를린장벽 이전 설치계획 수립
○ 16. 5. 2.: 서울시 문화본부장, 문화관리팀장, 담당 등 현장방문 → 현장보고회 개최
(동북체육공원 및 예술창작공간 조성계획, 공사지연 사유 설명 등)
○ 16. 5.25.: 도시계획시설 결정 심의 반영 설계용역 연장(2016. 6. 12. → 2016. 7. 20.)
○ 16. 5.27.: 동북체육공원 및 대전차방호시설 설계용역 최종보고회
○ 16. 7. 8: 군부대 요청사항 재협상 협의 (군 요청사항 하향조정)
○ 16. 7.12: 베를린장벽 이전 및 무상기증식 추진 협의 (통일26주년기념 10월4일 개최-통일부 통일문화과 협의)
○ 16. 7.21.: 2016 전국기초단체장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내용 : 민,관,군 협의로 재탄생한 대전차방호시설 도시재생분야)
○ 16. 7.26.: 국방부 경기남부시설단과 건축물대장 작성 협의요청
○ 16. 7.28.: 공원결정 심의 반영 설계용역 연장(16. 7. 20. → 2016. 11. 23.)
○ 16. 8. 1.: 군사시설 관할부대 변경(71사단->60사단)
○ 16. 8.19.: 서울시 조직개편으로 담당부서 변경
(문화본부 문화정책과 → 문화본부 문화시설추진단 문화시설과)
○ 16. 9.28. : 군사시설 공동활용 재협의 요청(60사단 방문 및 협조공문 발송)
○ 16. 9 29. : 베를린장벽(3개) 이송 용역계약
○ 16.10. 4. : 베를린장벽 무상기증식(독일 현지, 통일부 및 관계자 참석)
○ 16.10. 7. : 독일현지(함부르크항) 베를린 장벽 선적
○ 16.11.12. : 베를린장벽 3점 부산항 도착
○ 16.11.17. : 베를린장벽 위탁 보관장소(경기도 하남시) 도착
○ 16.12. 1. : 군사시설(대전차방호시설) 공동활용 서울시?도봉구?60사단 협약식 개최
○ 16.12.12. : 공사업체 계약(건축, 토목, 기계, 전기, 통신, 소방공사 및 감리용역)
○ 16.12.14. : 공사착공
○ 17.01.26. : 기존구조 존치를 위한 현장회의(2016. 서울 미래유산 지정)
○ 17.06.01. : 대전차방호시설 문화창작센터 민간위탁 기관 공고(서울특별시 공고 제2017-1335호)
위탁기관- 도봉문화재단
○ 17.09. : 대전차방호시설 문화창작공간 명칭 '평화문화진지' 로 결정
○ 17.10. : 평화문화진지 입주작가 11명 선정
○ 17.10. : 전차(66사단), 장갑차(1경비단) 무상기증
○ 17.10.31. : 평화문화진지 개관식 및 평화통일 콘서트 개최
추진실적(2018.01.~2018.12.)
○ 공간이용 현황
- 다목적 공연장(대관 및 공연연습) : 50회
- 세미나실, 공유공방1(회의, 워크숍 등) : 133회
- 평화광장(대관 야외행사 등) : 25회
- 커뮤니티실(모임/코워킹) : 연간 2000여명 이용
○ 문화예술진흥사업
- 입주작가 창작발표지원 : 1기 입주작가 14명(팀) / 2기 입주작가 8명(팀)
- APT(Archive art ProjecT) 전시 : 4인 선정 및 기획전시(2018.10.~2019.01.)
○ 시민참여사업
- 작가연계프로그램운영 : 7회
- 일상예술워크숍(삶, 생태, 예술 교육관련 워크숍을 통한 다양한 관계탐구) : 21회
- 다락장 운영: 7회 163셀러 참여
- 평화문화진지 놀이터 운영 : 30회
- 시민기획프로그램 : 살롱 드 노라(연극 2회), 나만의 나무찾기(공방프로그램 : 54회)
○ 공간활성화사업
- 기관홍보물 제작 및 미디어홍보 : 서울아트가이드 잡지, 코리아브로스 평화문화진지 홍보영상 촬영 및
유튜브 및 페이스북 영상 게재
- 현장탐방추진단 운영(평화문화진지 현장탐방해설가 양성) : 해설가 양성 10명, 현장탐방 21회 실시
추진실적(2019.01.~2019.12.)
○ 공간이용 현황
- 다목적 공연장(대관 및 공연연습) : 61회
- 세미나실, 공유공방1(회의, 워크숍 등) : 95회
- 평화광장(대관 야외행사 등) : 9회
- 다목적전시실 : 12회
- 커뮤니티실(모임/코워킹) : 연간 1,800여명 이용
○ 문화예술진흥사업
- 입주작가 창작발표지원(전시) : 2기 입주작가 8명(팀) / 3기 입주작가 7명(팀)
- 입주작가 창작발표지원(오픈스튜디오) : 2기 입주작가 8명(팀) 3,700명 참여
○ 시민참여사업
- 작가연계프로그램운영 : 33회
- 일상예술워크숍(삶, 생태, 예술 교육관련 워크숍을 통한 다양한 관계탐구) : 20회
- 다락장 운영: 2회 1,315명 참여
- 시민기획프로그램 : 나만의 나무찾기(공방프로그램 : 104회)
○ 공간활성화사업
- 기관홍보물 제작 및 미디어홍보 : 온?오프라인 1,137회 / 언론보도(신문, 방송 등) 100회 이상
- 현장탐방추진단 운영(평화문화진지 현장탐방해설가 양성) : 현장탐방 21회 580명 참가
- 2019 연말기획공연 : 1회 1,820명 참여
추진실적(2020.01.~2020.9.)
○ 공간조성 현황
- 평화문화진지 도서열람실 ‘진지한 책방’ 조성(2020.9.)
- 평화문화진지 카페테리아 운영자(도봉지역자활센터) 계약 체결(6월) 및 영업시작(8월)
○ 문화예술진흥사업
- 입주작가 창작발표지원(전시) : 3기 입주작가(전지인) 결과보고전 1회
○ 시민참여사업
- 시민기획프로그램 : 시민기획프로그램 2팀 공모 및 선발 (크랙커, 소풍)
○ 공간활성화사업
- 기관홍보물 제작 및 미디어홍보 : 온?오프라인 135회 이상 / 언론보도(신문, 방송 등) 10회 이상
- 현장탐방추진단 운영(평화문화진지 현장탐방해설가 양성) : 현장탐방 1회 20명 참가
- 문화버스킹(진지한 라이브 Ⅰ,Ⅱ) : 15회 예술가 56명(팀) 참여
○ 거버넌스활동
-평화문화진지 1기 시민모니터링단 선발(2020.6.~12.)
○ 외부기관 선정사업
- 서울문화재단 ‘2020 유아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선정 (3.~12.)
-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예술路’ 지원사업(예술인 파견지원사업) 선정(4.~11.)
○ 유관기관 협력사업
- 서울문화재단 서울거리 예술창작센터 2020창작지원사업 ‘잇츠굿’ 현장운영 지원(7.11.~12.)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0 공연예술 창작산실 올해의 레퍼토리 선정작
‘우주마인드프로젝트 서민경제3부작’ 온라인 콘텐츠 제작을 위한 영상 촬영(8.8.~9.3.)
- 문화체육관광부?서울특별시 ‘코로나19 서울공공미술프로젝트’(20.8.~21.6.)
-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 창작리서치 지원사업 아이모멘트<잠 못드는 밤:요람의 기억> 영상촬영(9.26.예정)
○ 15. 3. 2.: 시설단 군시설 공동활용 협의
○ 15. 7.31.: 대전차방호시설 예술창작공간 조성·운영 기본계획 통보(서울시 문화정책과)
○ 15. 8. 6.: 대전차방호시설 예술창작공간 조성·운영 기본계획 수립
○ 15. 8. 7.: 대전차방호시설 5개동 전면 리모델링공사 발주의뢰
○ 15.10.15.: 설계공모 당선작 실시설계 용역계약(2015.10.15∼2016.1.12)
○ 16. 1. 7.: 군부대 요청사항 등을 반영한 설계용역 기간 연장 (16. 1. 12. → 16. 6.12.)
○ 16. 2.24.: 공간재생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전문가 및 사업관계자 16명)
○ 16. 4.15.: 베를린장벽 무상기증 가능 통보
○ 16. 4.28.: 베를린장벽 3개 요청 및 조감도(영문) 자료 제출(외교부 공공외교총괄과)
○ 16. 5. 2: 대전차방호시설 전면공간 베를린장벽 이전 설치계획 수립
○ 16. 5. 2.: 서울시 문화본부장, 문화관리팀장, 담당 등 현장방문 → 현장보고회 개최
(동북체육공원 및 예술창작공간 조성계획, 공사지연 사유 설명 등)
○ 16. 5.25.: 도시계획시설 결정 심의 반영 설계용역 연장(2016. 6. 12. → 2016. 7. 20.)
○ 16. 5.27.: 동북체육공원 및 대전차방호시설 설계용역 최종보고회
○ 16. 7. 8: 군부대 요청사항 재협상 협의 (군 요청사항 하향조정)
○ 16. 7.12: 베를린장벽 이전 및 무상기증식 추진 협의 (통일26주년기념 10월4일 개최-통일부 통일문화과 협의)
○ 16. 7.21.: 2016 전국기초단체장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내용 : 민,관,군 협의로 재탄생한 대전차방호시설 도시재생분야)
○ 16. 7.26.: 국방부 경기남부시설단과 건축물대장 작성 협의요청
○ 16. 7.28.: 공원결정 심의 반영 설계용역 연장(16. 7. 20. → 2016. 11. 23.)
○ 16. 8. 1.: 군사시설 관할부대 변경(71사단->60사단)
○ 16. 8.19.: 서울시 조직개편으로 담당부서 변경
(문화본부 문화정책과 → 문화본부 문화시설추진단 문화시설과)
○ 16. 9.28. : 군사시설 공동활용 재협의 요청(60사단 방문 및 협조공문 발송)
○ 16. 9 29. : 베를린장벽(3개) 이송 용역계약
○ 16.10. 4. : 베를린장벽 무상기증식(독일 현지, 통일부 및 관계자 참석)
○ 16.10. 7. : 독일현지(함부르크항) 베를린 장벽 선적
○ 16.11.12. : 베를린장벽 3점 부산항 도착
○ 16.11.17. : 베를린장벽 위탁 보관장소(경기도 하남시) 도착
○ 16.12. 1. : 군사시설(대전차방호시설) 공동활용 서울시?도봉구?60사단 협약식 개최
○ 16.12.12. : 공사업체 계약(건축, 토목, 기계, 전기, 통신, 소방공사 및 감리용역)
○ 16.12.14. : 공사착공
○ 17.01.26. : 기존구조 존치를 위한 현장회의(2016. 서울 미래유산 지정)
○ 17.06.01. : 대전차방호시설 문화창작센터 민간위탁 기관 공고(서울특별시 공고 제2017-1335호)
위탁기관- 도봉문화재단
○ 17.09. : 대전차방호시설 문화창작공간 명칭 '평화문화진지' 로 결정
○ 17.10. : 평화문화진지 입주작가 11명 선정
○ 17.10. : 전차(66사단), 장갑차(1경비단) 무상기증
○ 17.10.31. : 평화문화진지 개관식 및 평화통일 콘서트 개최
추진실적(2018.01.~2018.12.)
○ 공간이용 현황
- 다목적 공연장(대관 및 공연연습) : 50회
- 세미나실, 공유공방1(회의, 워크숍 등) : 133회
- 평화광장(대관 야외행사 등) : 25회
- 커뮤니티실(모임/코워킹) : 연간 2000여명 이용
○ 문화예술진흥사업
- 입주작가 창작발표지원 : 1기 입주작가 14명(팀) / 2기 입주작가 8명(팀)
- APT(Archive art ProjecT) 전시 : 4인 선정 및 기획전시(2018.10.~2019.01.)
○ 시민참여사업
- 작가연계프로그램운영 : 7회
- 일상예술워크숍(삶, 생태, 예술 교육관련 워크숍을 통한 다양한 관계탐구) : 21회
- 다락장 운영: 7회 163셀러 참여
- 평화문화진지 놀이터 운영 : 30회
- 시민기획프로그램 : 살롱 드 노라(연극 2회), 나만의 나무찾기(공방프로그램 : 54회)
○ 공간활성화사업
- 기관홍보물 제작 및 미디어홍보 : 서울아트가이드 잡지, 코리아브로스 평화문화진지 홍보영상 촬영 및
유튜브 및 페이스북 영상 게재
- 현장탐방추진단 운영(평화문화진지 현장탐방해설가 양성) : 해설가 양성 10명, 현장탐방 21회 실시
추진실적(2019.01.~2019.12.)
○ 공간이용 현황
- 다목적 공연장(대관 및 공연연습) : 61회
- 세미나실, 공유공방1(회의, 워크숍 등) : 95회
- 평화광장(대관 야외행사 등) : 9회
- 다목적전시실 : 12회
- 커뮤니티실(모임/코워킹) : 연간 1,800여명 이용
○ 문화예술진흥사업
- 입주작가 창작발표지원(전시) : 2기 입주작가 8명(팀) / 3기 입주작가 7명(팀)
- 입주작가 창작발표지원(오픈스튜디오) : 2기 입주작가 8명(팀) 3,700명 참여
○ 시민참여사업
- 작가연계프로그램운영 : 33회
- 일상예술워크숍(삶, 생태, 예술 교육관련 워크숍을 통한 다양한 관계탐구) : 20회
- 다락장 운영: 2회 1,315명 참여
- 시민기획프로그램 : 나만의 나무찾기(공방프로그램 : 104회)
○ 공간활성화사업
- 기관홍보물 제작 및 미디어홍보 : 온?오프라인 1,137회 / 언론보도(신문, 방송 등) 100회 이상
- 현장탐방추진단 운영(평화문화진지 현장탐방해설가 양성) : 현장탐방 21회 580명 참가
- 2019 연말기획공연 : 1회 1,820명 참여
추진실적(2020.01.~2020.9.)
○ 공간조성 현황
- 평화문화진지 도서열람실 ‘진지한 책방’ 조성(2020.9.)
- 평화문화진지 카페테리아 운영자(도봉지역자활센터) 계약 체결(6월) 및 영업시작(8월)
○ 문화예술진흥사업
- 입주작가 창작발표지원(전시) : 3기 입주작가(전지인) 결과보고전 1회
○ 시민참여사업
- 시민기획프로그램 : 시민기획프로그램 2팀 공모 및 선발 (크랙커, 소풍)
○ 공간활성화사업
- 기관홍보물 제작 및 미디어홍보 : 온?오프라인 135회 이상 / 언론보도(신문, 방송 등) 10회 이상
- 현장탐방추진단 운영(평화문화진지 현장탐방해설가 양성) : 현장탐방 1회 20명 참가
- 문화버스킹(진지한 라이브 Ⅰ,Ⅱ) : 15회 예술가 56명(팀) 참여
○ 거버넌스활동
-평화문화진지 1기 시민모니터링단 선발(2020.6.~12.)
○ 외부기관 선정사업
- 서울문화재단 ‘2020 유아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선정 (3.~12.)
-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예술路’ 지원사업(예술인 파견지원사업) 선정(4.~11.)
○ 유관기관 협력사업
- 서울문화재단 서울거리 예술창작센터 2020창작지원사업 ‘잇츠굿’ 현장운영 지원(7.11.~12.)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0 공연예술 창작산실 올해의 레퍼토리 선정작
‘우주마인드프로젝트 서민경제3부작’ 온라인 콘텐츠 제작을 위한 영상 촬영(8.8.~9.3.)
- 문화체육관광부?서울특별시 ‘코로나19 서울공공미술프로젝트’(20.8.~21.6.)
-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 창작리서치 지원사업 아이모멘트<잠 못드는 밤:요람의 기억> 영상촬영(9.26.예정)
향후계획
향후계획(2020.9.~2020.12.)
□ 문화예술진흥을 위한 창작지원사업
○ 기 간: 2020. 9. ~ 12.
○ 오프라인: 평화문화진지 전체 공간
○ 온 라 인: 평화문화진지 facebook, instagram, 도봉문화재단 facebook, youtube
○ 사업내용
- 2020 평화문화진지 입주작가 연계프로그램
* 내 용 : 평화문화진지에 입주해 있는 전문작가가 운영하는 문화예술 체험 프로그램
* 운영방식 : 프로그램 영상 촬영 및 온라인 송출, 참여자 작품을 온라인 전시로 마무리
※ 입주작가의 작업 특성 상 대면 프로그램이 필수적인 작가는 제외
- 3기 입주작가 결과보고전(6인(팀)
* 내 용 : 평화문화진지 입주기간 중 작업을 일반에 공개(전시, 공연 등)
* 운영방식 : 코로나19에 따른 시설 운영이 유동적인 상황이라 현장에서 직접 전시, 공연을 진행하되 온라인(VR, 영상) 병행
- 3기 입주작가 온라인 오픈스튜디오(6인(팀)
* 내 용 : 평화문화진지 3기 입주작가 스튜디오 공개 및 작가 인터뷰
* 운영방식 : 입주작가 6인(팀)의 스튜디오 및 인터뷰 촬영 후, 온라인에 영상 게재
□ 시민문화향유를 위한 문화예술프로그램 운영
○ 기 간: 2020. 9. ~ 12.
○ 오프라인: 평화문화진지 전체 공간
○ 온 라 인: 평화문화진지 facebook, instagram, 도봉문화재단 facebook, youtube
○ 사업내용
- 일상예술워크숍: 9. ~ 12.
* 비대면 글쓰기 <지구백일장>
* 내 용 : 환경을 주제로 4주간 비대면 글쓰기 워크숍을 통해 다양한 사람들과 한권의 책을 만들어 냄
* 운영방식 : 실시간 온라인 모임을 통한 프로그램 진행 <무탈하지 않은 인사> 영상 제작 및 송출
* 내 용 :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우리의 생활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만남과 공감의 통로가 사라진 유래 없는 시대에
또 다른 소통의 통로를 찾아서 이야기를 공유하고 아카이빙 할 수 있는 영상을 제작
* 운영방식 : 영상 제작 후 온라인 송출
- 시민기획 프로그램
* 시민기획 프로그램 <크랙커, 소풍>
* 내 용 : 시민기획 프로그램에 선정된 크랙커, 소풍팀의 진행으로 비대면 온라인 클래스 운영 및 키트를 제작
* 운영방식 : 영상 제작 후 온라인 송출 및 키트 제작?발송
□ 평화문화진지 공간활성화사업
○ 기 간: 2020. 9. ~ 12.
○ 오프라인: 평화문화진지 전체 공간
○ 온 라 인: 평화문화진지 facebook, instagram, 도봉문화재단 facebook, youtube
○ 사업내용
* 내 용 : 평화문화진지 공연장(BUNKER1-1씨어터)에서 관객 비대면 온라인 버스킹 공연 진행
* 운영방식 : 평화문화진지, 도봉문화재단, SNS 및 Youtube, 사이버도봉예술극장 등을 활용하여 영상 공연 운영 및 사회적거리두기 단계에 따라 소규모 단위로 진행
- 문화가 있는 날
* 내 용 : 비대면 온라인 연극, 움직임, 도서관련 문화프로그램 등 전문예술단체와 협업하여 평화문화진지 실내?외 공간에서 공연 영상 제작
* 운영방식 : 온라인 영상 게재 및 사회적거리두기 단계에 따라 소규모 단위로 진행
- 기관홍보물 제작 : 리플렛, 브로셔 등을 제작해 오프라인 공간상에서 시민들에게 공간 및 다양한 소식을 전달하고 홍보함
□ 문화예술진흥을 위한 창작지원사업
○ 기 간: 2020. 9. ~ 12.
○ 오프라인: 평화문화진지 전체 공간
○ 온 라 인: 평화문화진지 facebook, instagram, 도봉문화재단 facebook, youtube
○ 사업내용
- 2020 평화문화진지 입주작가 연계프로그램
* 내 용 : 평화문화진지에 입주해 있는 전문작가가 운영하는 문화예술 체험 프로그램
* 운영방식 : 프로그램 영상 촬영 및 온라인 송출, 참여자 작품을 온라인 전시로 마무리
※ 입주작가의 작업 특성 상 대면 프로그램이 필수적인 작가는 제외
- 3기 입주작가 결과보고전(6인(팀)
* 내 용 : 평화문화진지 입주기간 중 작업을 일반에 공개(전시, 공연 등)
* 운영방식 : 코로나19에 따른 시설 운영이 유동적인 상황이라 현장에서 직접 전시, 공연을 진행하되 온라인(VR, 영상) 병행
- 3기 입주작가 온라인 오픈스튜디오(6인(팀)
* 내 용 : 평화문화진지 3기 입주작가 스튜디오 공개 및 작가 인터뷰
* 운영방식 : 입주작가 6인(팀)의 스튜디오 및 인터뷰 촬영 후, 온라인에 영상 게재
□ 시민문화향유를 위한 문화예술프로그램 운영
○ 기 간: 2020. 9. ~ 12.
○ 오프라인: 평화문화진지 전체 공간
○ 온 라 인: 평화문화진지 facebook, instagram, 도봉문화재단 facebook, youtube
○ 사업내용
- 일상예술워크숍: 9. ~ 12.
* 비대면 글쓰기 <지구백일장>
* 내 용 : 환경을 주제로 4주간 비대면 글쓰기 워크숍을 통해 다양한 사람들과 한권의 책을 만들어 냄
* 운영방식 : 실시간 온라인 모임을 통한 프로그램 진행 <무탈하지 않은 인사> 영상 제작 및 송출
* 내 용 :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우리의 생활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만남과 공감의 통로가 사라진 유래 없는 시대에
또 다른 소통의 통로를 찾아서 이야기를 공유하고 아카이빙 할 수 있는 영상을 제작
* 운영방식 : 영상 제작 후 온라인 송출
- 시민기획 프로그램
* 시민기획 프로그램 <크랙커, 소풍>
* 내 용 : 시민기획 프로그램에 선정된 크랙커, 소풍팀의 진행으로 비대면 온라인 클래스 운영 및 키트를 제작
* 운영방식 : 영상 제작 후 온라인 송출 및 키트 제작?발송
□ 평화문화진지 공간활성화사업
○ 기 간: 2020. 9. ~ 12.
○ 오프라인: 평화문화진지 전체 공간
○ 온 라 인: 평화문화진지 facebook, instagram, 도봉문화재단 facebook, youtube
○ 사업내용
* 내 용 : 평화문화진지 공연장(BUNKER1-1씨어터)에서 관객 비대면 온라인 버스킹 공연 진행
* 운영방식 : 평화문화진지, 도봉문화재단, SNS 및 Youtube, 사이버도봉예술극장 등을 활용하여 영상 공연 운영 및 사회적거리두기 단계에 따라 소규모 단위로 진행
- 문화가 있는 날
* 내 용 : 비대면 온라인 연극, 움직임, 도서관련 문화프로그램 등 전문예술단체와 협업하여 평화문화진지 실내?외 공간에서 공연 영상 제작
* 운영방식 : 온라인 영상 게재 및 사회적거리두기 단계에 따라 소규모 단위로 진행
- 기관홍보물 제작 : 리플렛, 브로셔 등을 제작해 오프라인 공간상에서 시민들에게 공간 및 다양한 소식을 전달하고 홍보함
현황 도면

주관부서 | 문화관광과 (과장) |
문화정책팀
(팀장) |
주무관 (담당) |
전화번호 |
---|---|---|---|---|
문화관광과 | 임필순 | 김봉식 | 최연호 | 02-2091-2256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