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맞춤형 생명존중 자살예방 사업
조회수 : 13723
구분 | 공약 | 주요현안 | 국시비 | 공모 |
---|---|---|---|---|
사업유형 | ![]() |
![]() |
구분 | 계획수립 | 예산확보 | 추진현황 | ||||||||
---|---|---|---|---|---|---|---|---|---|---|---|
단계별 추진현황 |
미수립 | 수립중 | 완료 | 비예산 | 미확보 | 진행중 | 완료 | 미착수 | 추진중 | 완료 (종결) |
완료 후 지속추진 |
○ | ○ | ○ |
공개사유 | - 구청업무계획 중 주요사업
|
---|
사업개요
1. 사업근거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에 관한 법률』및 동법조례
2. 사업기간 : 연중
3. 사업대상 : 생애주기별 전 연령층
4. 사업목적 : 증가하고 있는 자살률 감소를 위해 주민밀착형 자살예방 서비스 시행으로 구민 자살예방 안전망 구축 및 생명존중 환경 조성, 자살 다빈도연령 및 취약계층 밀집정도를 기준으로 대상자 집중관리
5. 사업내용
가. 자살관련 사회인색개선 및 자살위험 환경개선
- 도봉살구 운동 지속전개(도봉을 살리고 구하는 운동): 캠페인, 생명존중 관련 행사 개최
- 희망번개탄 사업, 자살관련 언론보도 개선 및 모니터링
나.적극적 고위험군 조기발굴 및 집중관리
- 보건소 이용자(진료실, 검진실, 대사증후군센터) 우울증 사전검진
- 65세 및 70세 어르신 전수조사 및 65세 이상 취약계층
다. 생명지킴이 활동지원을 통한 마음이음사업 활성화
- 동별 생명지킴이 양성 확대 및 활동 대상자 1:1 결연 활성화
- 취약지역 집중관리 및 종교계와 협력하여 지역 내 은둔고위험군 발굴
- 생명지킴이 역량강화 교육 및 준사례관리자 양성교육 실시
- 독거노인, 장애인, 수급자 등 취약계층 방문형 마음건강 평가
라. 유관기관 연계체계 강화 및 생명존중 인식개선 사업
- 자살예방 활성화를 위한 경찰 네트워크 체계구축 사업
- 생명존중 보건의료분과 활성화로 지역사회 연계 체계구축
- 생명지킴이 날 운영(생명존중 캠페인), 자살예방의 날 기념 행사 등
마. 자살시도 대응강화 및 2차 확산 방지
- 자살유족 지원사업 실시
- 자살의시도자 및 유족에 대한 개입 지원서비스 강화
2. 사업기간 : 연중
3. 사업대상 : 생애주기별 전 연령층
4. 사업목적 : 증가하고 있는 자살률 감소를 위해 주민밀착형 자살예방 서비스 시행으로 구민 자살예방 안전망 구축 및 생명존중 환경 조성, 자살 다빈도연령 및 취약계층 밀집정도를 기준으로 대상자 집중관리
5. 사업내용
가. 자살관련 사회인색개선 및 자살위험 환경개선
- 도봉살구 운동 지속전개(도봉을 살리고 구하는 운동): 캠페인, 생명존중 관련 행사 개최
- 희망번개탄 사업, 자살관련 언론보도 개선 및 모니터링
나.적극적 고위험군 조기발굴 및 집중관리
- 보건소 이용자(진료실, 검진실, 대사증후군센터) 우울증 사전검진
- 65세 및 70세 어르신 전수조사 및 65세 이상 취약계층
다. 생명지킴이 활동지원을 통한 마음이음사업 활성화
- 동별 생명지킴이 양성 확대 및 활동 대상자 1:1 결연 활성화
- 취약지역 집중관리 및 종교계와 협력하여 지역 내 은둔고위험군 발굴
- 생명지킴이 역량강화 교육 및 준사례관리자 양성교육 실시
- 독거노인, 장애인, 수급자 등 취약계층 방문형 마음건강 평가
라. 유관기관 연계체계 강화 및 생명존중 인식개선 사업
- 자살예방 활성화를 위한 경찰 네트워크 체계구축 사업
- 생명존중 보건의료분과 활성화로 지역사회 연계 체계구축
- 생명지킴이 날 운영(생명존중 캠페인), 자살예방의 날 기념 행사 등
마. 자살시도 대응강화 및 2차 확산 방지
- 자살유족 지원사업 실시
- 자살의시도자 및 유족에 대한 개입 지원서비스 강화
주요추진경과
○ 사업연혁 및 경과
- ‘13년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시작(소속 재활간호팀)
- ‘14년 1월 조직개편에 따른 생명존중팀 내 사업수행 시작
- ‘14년 2월 담당자 외 자살전담기간제 인력 2명 확보
- ‘15년 1월 자살예방사업 전담인력(기간제) 1명 추가 확보
- ‘17년 3월 찾동정신전담요원 1명 추가 배치
- '21년~ 22년 생명이음청진기사업 연계 의료기관 4곳 협약
- '22년 6월 자살예방사업 근무요원(시선제) 1명 확보
○ 2022년 주요실적
- 생명지킴이 양성교육 실시 : 605명 (2013년부터 2021년까지 3,377명 양성)
- 자살(의)시도자 관리 및 유족 상담 : 자살의시도자 관리 45명, 고위험군 위기개입 1,612건, 자살유족 등록관리 15명
- 마음건강평가 : 7,536건
- 번개탄 희망판매소 45개소, 언론보도 128회 모니터링
- 생명존중 인식개선 활동 : 생명존중 문화조성 캠페인 31회, 자살예방의 날 행사 운영 1회
- ‘13년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시작(소속 재활간호팀)
- ‘14년 1월 조직개편에 따른 생명존중팀 내 사업수행 시작
- ‘14년 2월 담당자 외 자살전담기간제 인력 2명 확보
- ‘15년 1월 자살예방사업 전담인력(기간제) 1명 추가 확보
- ‘17년 3월 찾동정신전담요원 1명 추가 배치
- '21년~ 22년 생명이음청진기사업 연계 의료기관 4곳 협약
- '22년 6월 자살예방사업 근무요원(시선제) 1명 확보
○ 2022년 주요실적
- 생명지킴이 양성교육 실시 : 605명 (2013년부터 2021년까지 3,377명 양성)
- 자살(의)시도자 관리 및 유족 상담 : 자살의시도자 관리 45명, 고위험군 위기개입 1,612건, 자살유족 등록관리 15명
- 마음건강평가 : 7,536건
- 번개탄 희망판매소 45개소, 언론보도 128회 모니터링
- 생명존중 인식개선 활동 : 생명존중 문화조성 캠페인 31회, 자살예방의 날 행사 운영 1회
문제점 및 대책
1. 문제점 :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타구보다 높으며, 다른 연령층에 비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2. 대책
○ 동별 자살예방 안전망을 구축하고 동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사업 활성화
○ 동(洞)생명지킴이 확대양성 및 역량강화 교육을 통한 마음이음서비스 수준 향상
○ 복지관, 지역단체와 협력을 통한 복지사각지대 고위험군 발굴 및 예방
2. 대책
○ 동별 자살예방 안전망을 구축하고 동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사업 활성화
○ 동(洞)생명지킴이 확대양성 및 역량강화 교육을 통한 마음이음서비스 수준 향상
○ 복지관, 지역단체와 협력을 통한 복지사각지대 고위험군 발굴 및 예방
향후계획
○ 보건소 진료실 및 관내 의료기관 이용자 대상 마음건강평가 및 고위험군 대상자 선별평가(생명이음 청진기사업)
○ 주민센터 방문간호사, 우리동네주무관 연계 마음건강평가 실시(65세 전수, 취약계층)
○ 생명지킴이 신규확대 발굴 및 역량강화 교육
○ 도봉구 생명존중 문화조성 캠페인 지속 전개
○ 복지사각지대 발굴 지원 협약기관과 연계 복지사각지대 고위험군 발굴
○ 자살 유족 지원사업 실시, 자살시도자 및 유족에 대한 개입 지원서비스 강화
○ 동주민센터, 복지관과 연계 고위험군 발굴 모니터링 활동 강화
○ 주민센터 방문간호사, 우리동네주무관 연계 마음건강평가 실시(65세 전수, 취약계층)
○ 생명지킴이 신규확대 발굴 및 역량강화 교육
○ 도봉구 생명존중 문화조성 캠페인 지속 전개
○ 복지사각지대 발굴 지원 협약기관과 연계 복지사각지대 고위험군 발굴
○ 자살 유족 지원사업 실시, 자살시도자 및 유족에 대한 개입 지원서비스 강화
○ 동주민센터, 복지관과 연계 고위험군 발굴 모니터링 활동 강화
현황 도면
등록된 도면이 없습니다.
주관부서 | 지역보건과 (과장) |
생명존중팀
(팀장) |
주무관 (담당) |
전화번호 |
---|---|---|---|---|
지역보건과 | 유정자 | 이화영 | 김호영 | 02-2091-4583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