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맞춤형 공공임대주택 & 쌍문동 역세권 2030 청년주택 공급
- 청년 맞춤형 공공임대주택
- 입주대상
- 사회초년생 및 취업준비생으로 서울시 거주 무주택세대구성원
-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70%이하인 자
- 임대조건: 시세 30%∼50%, 임대기간 2년, 재계약 4회 가능
- 추진방법: 서울시 및 서울주택도시공사와 협업하여 청년맞춤형 공공임대주택 입주현황, 공실현황 등 고려하여 향후 공급 추진
- 입주대상
- 쌍문동 역세권 2030 청년주택 공급
- 사업방식: 대중교통 중심 역세권의 체계적 개발 및 행정 지원을 통하여 민관 협력으로 청년주택 공급
- 역세권 청년주택
- 서울시, SH공사 또는 임대사업자가 역세권에 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을 대상으로 양질의 주거 공간 제공을 위해 공급하는 임대주택
※ 역세권: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서 지하, 국철 및 경전철 등의 역의 각 승강장 경계로부터 350미터 이내의 지역
- 문의: 도봉구청 건축과(☎02-2091-3684)
청년 희망키움 통장 & 청년저축계좌
- 청년키움통장
- 대상: 가구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30% 이하인 일하는 생계 수급 청년 (만15∼39세)
- 내용: 근로・사업소득공제액 10만원 적립, 본인 소득의 45% 매칭 적립
- 조건: 3년 이내 탈수급
- 청년저축계좌
- 대상: 일반 노동시장에서 일하면서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이하인 주거·교육 급여 혹은 차상위 청년(만15∼39세)
- 내용: 본인저축액 10만원, 근로소득장려금 월 30만원(본인 저축액에 1:3 매칭 적립)
- 조건: 매월 10만원 저축, 3년간 근로활동 지속, 교육 이수 국가공인자격증 취득 시 근로소득장려금 1,080만원 지원
- 문의: 도봉구청 생활보장과(☎02-2091-3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