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치란?
- 민(주민)·관(행정)이 함께 소통하며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복합한 지역문제를 함께 정책 결정하고 해결해가는 과정
협치도봉 비전과 목표
- 비전 : 함께 만들어가는 더 큰 협치 도봉
- 목표 : 함께 성장하고 함께 해결하는 지속가능한 협치도봉
- ↑
- 공동계획
공동실행 -
협치도봉 비전과 목표로 미션, 지속가능한 협치도봉, 함께 성자하는 도봉, 함께 해결하는 도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미션 지속가능한 협치도봉 함께 성장하는 도봉 함께 해결하는 도봉 실행
과제- 협치조례 개정
- 협치운영체계 개편
- 협치 평가지표 개발과 적용
- 도봉 협치아카데미
- 협치매뉴얼 개발과 적용
- 민관파트너십 확대
- 공익활동 플랫폼 운영
- 도봉형 숙의 공론장
- 민관협치형 지역사회혁신사업발굴
- 지속가능 발전계획과 연계
추진
방향보다 더 깊은 공론과 숙의 보다 더 온전한 시민력 보다 더 열린 행정
협치도봉구회의
- 역할 : 민관협치 체계 구축 및 활성화에 관한 사항 심의 조정 등
- 구성 : 30명 이내
- 당연직 : 3명(구청장, 국장, 협치조정관)
- 위촉직 : 23명(공무원, 구의원, 민간위원 위촉)
- 2기 협치도봉구회의 위원 위촉 및 재구성(2019.4.10.)
- 연 4회 정례회의, 임시회 운영
협치도봉사무국 운영
- 구성 : 협치도봉사무국장 1명, 협치지원관 3명
- 기능
- 사무국 운영을 통한 민민 네트워크 활성화 및 정보제공
- 주민네트워크 및 지역주민 소통창구
지역사회혁신계획 소개
- 지역사회문제 해결과 지역의 협치기반 조성 등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을 목표로 하는 전략계획
- 민·관 간 협치적 논의(공론) 및 계획수립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고, 도봉구 협치회의에서 최종 협의결정
- [계획수립-실행-평가-환류] 전과정을 민과 관이 함께 수행함으로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