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우리구에서는 행정서비스의 고객인 구민들에게 제공하는 행정서비스의 이행기준과 내용을 구체적으로 정하여 실천할 것을 약속하고 잘못된 서비스에 대한 시정과 보상조치 등을 이행하는 행정서비스헌장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행정서비스헌장에 대한 주민(고객) 여러분의 많은 참여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아울러 헌장제에 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의견수렴 코너"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우리구에서는 행정서비스의 고객인 구민들에게 제공하는 행정서비스의 이행기준과 내용을 구체적으로 정하여 실천할 것을 약속하고 잘못된 서비스에 대한 시정과 보상조치 등을 이행하는 행정서비스헌장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행정서비스헌장에 대한 주민(고객) 여러분의 많은 참여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아울러 헌장제에 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의견수렴 코너"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헌장제의 정의
- 행정서비스헌장제의 정의
행정서비스헌장제란 '90년대초부터 선진국에서 서비스의 질적 향상 및 정부개혁 정책수단으로 도입한 제도로 국가마다 명칭을 각각 달리 사용하고 있다
- 프랑스('90) : 행정서비스헌장(Public Service Charter)
- 영 국('91) : 시민헌장(Citizen's Charter) Service First('98)
- 미 국('93) : 고객서비스기준(Customer Service Standards)
- 기타 아시아의 네 마리 작은 龍(NIC'S)중 싱가포르와 홍콩도 기존의 행정 서비스 전달체계를 고객인 국민중심으로 획기적으로 전환함
- 우리나라('98) : 행정서비스헌장-대통령 훈령(제70호)
- 행정서비스헌장의 개념은 행정기관이 제공하는
- 행정서비스의 기준 및 내용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절차와 방법
- 그리고, 잘못된 서비스에 대한 시정 및 보상조치 등을 구체적으로 정하여 공표하고
- 이의 실천을 국민에게 약속하는 제도이다
도입배경
- 행정서비스헌장제의 도입배경
행정환경의 변화에 따라, 지난 50년간 유지되어온 행정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조와 틀을 일대 쇄신할 필요
- 서비스 제공방식을 고객중심으로 전환하여 국민이 일방적인 수혜자가 아니라 적극적 선택권자임을 천명
- 규제·절차중심의 행태와 조직문화를 고객과 결과 중심으로 전환
- 고품질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경쟁과 경영의 원리를 도입
- [깨끗하고 공정한 정부]를 원하는 국민의 기대 충족
- 행정서비스의 투명성을 확보하여 서비스제공에 따른 부정과 부패의 방지
- 모든 국민에게 공정하고 평등한 서비스의 제공을 약속하여 특혜나 이권의 여지를 근절
- 정부개혁 작업의 성공적 추진을 뒷받침하기 위한 개혁 전략의 수단 확보
- 정부주도의 개혁만으로는 국민지지 확보에 한계가 있으므로 국민요구에 대한 대응성과 책임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 필요
- 분야별 목표를 재검토함으로써 개혁의 방향을 [고객위주]로 설정할 수 있는 기회 제공